④생운성(生運星)- (당신의
금년운)
목록가기
분만출생(分娩出生): 전생인 모체에서 다 자란 아기가 출생하는 운이니 갱생재기(更生再起): 새 땅인 이생(以生)에 다시 태어나 재기함과 같은 운세이다. 모체내에서 생육과정을 마치고 드디어 광명천지(光明天地)인 이 세상에 출생했음을 뜻한다.(이를 장생이라고 한다) 즉, 모체에서 10개월 동안의 생육과정인 선천기(先天期)를 마치고 후천세상인 이생(以生)에 왔음을 뜻한다. |
[1] 이 생운성을 절기로 비유하면 입춘절(立春節)인 1월(寅月)과 같다. 긴긴 겨울잠에서 깨어나 이제막 봄의 문(門)턱에 첫발을 내딛는 과정과 같다. 삼양지절(三陽之節)로 양기(陽氣)가 발산(發散)되어 만물이 활동하고자 하는 의욕이 강하게 일어나는 시기이다. 무심(無心)상태에 있던 자가 무엇을 해보고 싶다는 의욕이 생기며, 쓸어졌던 자가 다시 일어나고, 질병으로 고생하던 자가 다시 건강을 되찿고, 잃었던 용기를 다시 되찾아 재기(再起)할 기분(氣分)이 생기며, 모든 일에 자신과 용기와 기분(氣分)이 생하여 의욕적으로 일을 개척(開拓), 타개(打開)해 나가는 갱생(更生).재기(再起).전진(前進)의 운(運)이요, 시기(時期)임을 예시(豫示)하는 운세이다. 그러나 본궁(本宮)은 간방(艮方)인 소남궁(少男宮)에 처(處)해 있으므로 아직 경험이 부족하고 체험이 적은 년소자(年少者)에게는 신중(愼重)을 요(要)하는 운세이니, 의욕과 박력을 믿고 일을 추진하다가는 실패에 부닥칠 위험이 도사리고 있음을 명심(銘心)하여야 한다. |
[2] 생문(生門) : 절후로 12월절이라 아직은 만물이 생동하고자 하는 준비단계의 시기일뿐 전진.돌진의 단계는 아니다. 소남궁(少男宮)에 처(處)해 있으므로 의욕과 용기와 충동심이 생하나 대개는 어디까지나 기분적이요, 타인의 간섭을 벗어나 멋대로 행동하고 싶은 심정이다. 만사를 빠르게 진행하고자 하는 의욕과 앞뒤를 가리지 않고 한 방향으로 돌진하고자 하는 충동심이 강하다. 그러나 경험과 체험이 부족하니 혹 전진하다가 실패에 부닥칠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따라서 연상자(年上者)는 길(吉)하나 연소자(年少者)는 신중(愼重)을 요(要)하는 운세이다. 그러나 가취(嫁娶). 원행(遠行)에는 길한 운으로 혼인에 대길하고, 출입에 기쁨이 있다. 구재(求財)에는 소득이 있고, 경영에는 백사(百事)가 유통되므로 기분이 생(生)하고 기쁨이 따른다. |
[3] 생기(生氣) : 본 생기는 소남궁(少男宮)에 임(臨)에 있으므로 용기. 박력. 기분. 충동. 자신. 의욕이 생(生)하므로 어떤 일의 발족. 타개(打開) 또는 승진 등을 꾀하고 도모하나 절후가 12월절에 해당하므로 아직은 풍한을 견디기 어려운 시기이니, 풍한을 대비하면서 미래사에 대한 개척. 타개의계획을 충실히 준비하는 시기이다. |
[4] 천임성(天任星:艮宮의 土星=行人事)-선무 공덕의 소길성(小吉星-次吉). 천임성이 간산궁(艮山宮)에 소재(所在)하여 신불견(身不見). 인불견(人不見)의 태세이니 소길성이다. 실행력이 강하고 시기에 잘 적응하여 기회를 잘 포착하며, 의진의태(宜進宜退)하니 임사(臨事)에보합보완(保合補完) 조치도 잘한다. 반면에 한번 심정이 동요하면 참지 못하고 순식간에 개혁.변동을 일으켜 상하가 뜻이 맞지 않고 충돌하여 실패하는 수가 비일비재(非一非再)하여 작사허귀(作事虛歸)하는 운을 내포하고 있으니, 처사(處事)에 침착성을 잃자 말아야 할 것이다. 자가(自家)에 입궁하여 득왕(得旺)하므로 재수형통하고, 용병(用兵)에는 사시(四時)가 길하니 만병(萬兵)이 복종하며, 적군이 스스로 항복하는 길조가 발생한다. 이사 제사 임관(臨官)는 모두 길하다. |
[5] 태음성(太陰星:艮宮.土星=吉星)- 음인유조(陰人有助).이성수지(異性隨之).백사통리(百事通利). 태음은 음조(陰助)의 길성으로 구재(求財)에 대득(大得)함을 가기(可期)요, 백화(百禍)가 불능침해(不能侵害)하니 뇌물을 받아도 탄로나지 않고 무사하며, 이성이 따르는 경사가 필지(必至)하니 경연(慶宴)도 베풀고 기쁨도 즐기는 운이다. 행도(行道)에는 현우(賢友)를 만나나 회군(回軍)하는데는 필히 복병(伏兵)을 만나니 경행(輕行)하지 말아야 한다. |
[6] 청룡궁(靑龍宮) 청룡은 목성(木性)에 속하며, 제1의 길장(吉將)으로, 재물 곡식 희경(喜慶)을주관한다. 또한 신랑은 청룡, 신부는 천후(天后), 문관은 청룡, 무관은 태상(太常)으로 본다. 해자인묘(亥子寅卯)일에 이 괘를 얻으면 청룡인 목성이 득생득왕(得生得旺)하므로 재물 곡식 희경(喜慶) 결혼 태산(胎産) 상사(賞賜) 천직(遷職)등의 기쁨이 있고, 특히 인(寅)일에 이 괘를 얻으면 청룡개안(靑龍開眼)이라 하여 소재강복(消災降福)하며, 승룡(乘龍)으로 청룡이 왕위(旺位)에 앉았으므로 귀인의 천관(遷官)이 있고 구하는 바가 모두 길(吉)하고, 친화(親和)함이 있다. 사오신유(巳午申酉)일과 진술축미(辰戌丑未)일 등에 이 괘를 얻으면 청룡인 목기(木氣)가 극누(剋漏)되어 실기(失氣)하므로 추진사는 힘을 잃게된다. 따라서 소극적인 처신(處身)을 취함이 유리하다. ◐ 청룡의 유신(類神)은 귀족 귀관 승도 인격자 재물 결혼 연회 태산(胎産) 관청승천(陞遷) 서류 서적 의복 목재 주차(舟車) 부인(富人) 전주(田主) 하늘 용 호랑이 고양이 비(雨) 등이고, 병으로는 간장병, 색은 푸른색(碧), 수는 7이다. |
![]() ![]() ![]() (031)675-8196.
HP.019-282-819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