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칩(驚蟄) - 동물(개구리)과 벌레들이 잠에서 깨어난다. 목록가기
동면에서 깨어난 개구리 |
![]() |
![]() |
![]() |
24절기의 셋째, 음력으로는 2월 절기이며 양력으로는 3월 6일경부터 춘분(春分:3월 21일경)전까지이다. 태양의 황경이 345도 일 때, 우수(雨水)와 춘분 사이에 있다. 계칩(啓蟄)이라고도 한다.
초목에 물이
오르고 겨울잠을 자던 동물(개구리)과 벌레들도 잠에서
깨어나 꿈틀거리기 시작한다는 뜻에서 경칩(驚蟄)이라는 이름이
붙여진 것이다. |
![]() |
동지로부터 81일이 지나면(경칩부근) 추위가 완전히 물러가는데 81일을 9일 단위로 나눠(9*9=81) 농부들은 구구가(九九歌)를 불렀다. 구구가는 긴 겨울동안 농사를 손놓아 게을러지는 것을 추스리고, 자연현상을 관철하면서 농사 시기를 살피고자 한 것이다. 그 중 아홉째 마지막 경칩 부근의 노래는 "밭가는 소의 모습을 어디서나 볼 수 있다"해서 '구구경우(九九耕牛)'라 불렀다. |
이때쯤이면 농가에서는 장 담그기를 한다. 장 담그는 일은 가정의 일 년 농사라 할 만큼 중요하다. 훌륭한 장맛의 비결은 좋은 재료 선택(콩,소금,물)과 주부의 손끝 정성에 있다. 잘 씻어 말린 장독에 메주를 넣고, 체에 받쳐 거른 소금물을 메주가 잠길 정도로 붓는다. 그리고 고추,참숯 등을 넣는다. 고추의 붉은색은 악귀를 쫓는다고 해서, 참숯은 살균작용을 하기에 꼭 넣는다. 장을 담근 장독에는 잡귀가 들지 못하도록 왼새끼를 꼬아 솔잎, 고추, 한지를 끼운 금줄을 쳐 장맛을 지켰다. 반찬이 변변찮던 시절, 농가에서는 맛의 근원이었던 장을 무척이나 아꼈다.
금비(金肥)를 양약이라 한다면 퇴비는 한약이다. 농토에 보약같던 퇴비는 지력을 높이는 성질이 있다. 우리 조상들이 퇴비 만들기에 열을 올린 이유도 바로 지력 증진을 통한 생산량 향샹에 그 이유가 있었다.
경칩 풍속(驚蟄風俗) ♣ 개구리들이
봄을 맞아 논이나 물이 괸 곳을 찾아 알을 까놓는데, 그 알을 먹으면
몸을 보(補)하고
허리 아픈 데 좋다고 해서 경칩날 개구리 알
찾기가 벌어지기도 한다. 지방에 따라선 도룡뇽 알을 건져
먹기도 한다. ♣ 토역(土役,
흙일)을 하면 탈이 없다고 해서 이날 담을 쌓거나 벽을
바르는 일을 한다. 경칩 때 벽을 바르면 빈대가 없어진다고
해서 일부러 흙벽을 바르는 지방도 있다. 빈대가 심한
집에서는 물에 재를 타서 그릇에 담아 방 네 귀퉁이에
놓아두면 빈대가 없어진다는 속설이 전한다. ♣ 단풍나무나 고로쇠나무를 베어 나무에서 나오는 물을 마시면 위병이나 성병에 효과가 있다고 해서 약으로 먹는 지방도 있다.
|
|
목록가기 |
양력 3월(경칩절)의 영농 농가메모
구 분 |
상 순 |
중 순 |
하 순 |
식 량 작 물 |
못자리 자재 준비 |
논농업직접지불제에 따른 |
논농업직접지불제에 따른 |
벼직파재배용 자재준비 |
못자리 자재준비 |
일찍 모내기용 벼종자 담그기 |
|
규산질비료 주기, 봄논갈이 |
벼직파재배용 기계 및 자재준비 |
벼직파재배용 기계 및 자재준비 |
|
이앙기계 포기수 조절 평당 75포기이상 |
규산질, 퇴구비주기, 봄논갈이 |
규산질, 퇴구비주기, 봄논갈이 |
|
논보리 물뺄도랑 정비 |
객토한 논 종합개량 및 관리 |
이앙기계 포기수 조절 |
|
조기재배 고구마 모판관리 |
이앙기계 포기수 조절 |
논보리 물뺄도랑 정비 |
|
콩, 옥수수 종자교환 확보(10a당) |
논보리 물뺄도랑 정비 |
밭작물 종자, 전용복비 자재준비 |
|
옥수수 : 2.0∼2.5kg |
고구마 온상만들기 |
고구마 냉상 자재준비 |
|
조기재배 감자 모판관리 |
단옥수수 온상만들기 |
단옥수수 모판관리 |
|
|
조기재배 감자 모판관리 |
조기재배 감자 모판관리 |
|
원 예 작 물 |
난지형 마늘, 양파 웃거름주기 |
고추모판 관리 |
고추 아주심을 포장준비 |
일찍가꾸기 오이, 호박 파종 |
마늘, 양파 등 월동채소 웃거름 |
마늘, 양파 웃거름주기 |
|
시설하우스 환경관리 |
일찍가꾸기 채소 모판관리 |
봄배추 파종 |
|
사과, 배 전정 끝내기(남부) |
일찍가꾸기 참외, 수박 파종(중부) |
참외, 수박, 고추 등 모판관리 |
|
과수 밑거름주기 및 월동병해충 방제 |
과수 월동병해충 방제 묘목심기 |
과수 석회유황합제 뿌리기 |
|
과수 묘목심기 |
과수 높이접 품종 바꾸기 |
복숭아, 포도 전정 끝내기 |
|
시설과수 온·습도관리 |
시설과수 온·습도관리 |
과수 높이접 품종 바꾸기 |
|
숙근화훼류 번식 |
숙근화훼류 번식상 관리 |
무가온 시설과수 보온관리 |
|
느타리, 영지버섯재배 및 배양관리 |
백합지구 아주심기 |
숙근화훼류 아주심기 |
|
느타리버섯 겨울재배 폐상소독 |
느타리, 영지버섯재배 배양관리 |
표고버섯 원목구입 및 종균접종 |
|
축 산 및 특 작 물 |
돼지콜레라 예방주사 |
가축의 운동 및 피부손질 |
축사의 보온시설 철거 |
논뒷그루 사료작물 웃거름주기 |
가축의 내부기생충 구제 |
초지 및 논뒷그루 사료작물 |
|
귀리, 유채 등 사료작물 파종 |
귀리, 유채 등 사료작물 파종 (중부) |
새끼돼지 돌보기 |
|
축사주변 청결 및 소독 |
논뒷그루 사료작물 물뺄도랑 정비 |
가축분뇨 처리시설 점검 |
|
오갈병에 걸린 뽕나무 캐내어 태우기 |
돼지 분만 및 새끼돼지관리 |
봄철 뽕밭 거름주기 |
|
작년 가을에 심은 뽕나무 묘목 |
밀식뽕밭 조성 : 2,080그루/10ha |
평지뽕밭 : 전면 |
|
영지버섯 수확과 건조 |
동충하초 재배준비 |
|
목록가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