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가기

태강릉(泰康陵:중종계비尹씨의 태릉과 11대명종(강릉)             

 

 태강릉(泰康陵) 안내  
 

 

  조선 제11대 중종의 제2계비 문정왕후 윤씨를 모신 태릉과 그분들의 아들과 며느리가 되는 명종과 그의 비 인순왕후 심씨를 모신 강릉을 합하여 태강릉이라고 한다. 

 태릉은 태릉푸른동산과는 철조망 한 장을 사이에 두고 있으며, 강릉은 이곳에서 동북방향으로 900미터 정도 떨어진 위치에 있으나 이 강릉은 현재 원형보존을 위해 비공개 능으로 지정되어 있다. 명종의 능인 강릉이 생모 문정왕후와 능의 위치에 연관성을 지니고 있는 능이라면, 비록 비 공개릉이라고는 하나  태릉 입구에라도 강릉(康陵)에 대한 보다 자세한 안내나 설명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문정왕후의 능인 태릉은 단릉형식으로 조성되어 있고, 동북쪽에 있는 명종과 그의 비 인순왕후 심씨의 능은 동원이강 형식으로 조성되어 있다. 

 

 

 

제11대 중종(中宗)의 계비(繼妃) 문정왕후(文定王后) - 태릉(泰陵)  
   
  태릉(泰陵)의 특징
  중종
(中宗)의 제2계비인 문정왕후 윤씨(文定王后 尹氏:1501-1565)의 태릉(泰陵)은 명종(明宗)의 강릉(康陵)과 함께 태강릉(泰康陵)으로 불리우면서 주변의 태릉푸른동산, 태릉선수촌 등과 함께 많은 사람들의 왕래가 빈번한  곳이다.
   재위 1년을 못넘긴 인종(仁宗)에 이어, 아들 명종(明宗)이 왕위에 오르면서 그의 생모(生母)였던 문정왕후가 권력을 움직였기 때문에 사후(死後)의 능역 조성 역시 웅장하고 화려하게 이루어 졌으리라. 유난하게 거대한 석인(石人)의 얼굴과  병풍석
(屛風石)에 새겨진 구름 문양, 그리고 십이지 신상(十二支身像) 등은 당대 권력의 힘을 느끼게 한다.
  소재지 :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동 산 223-19 <泰康陵 소재>
사   적 : 제 201 호
   
  文定王后 약사(略史)
  문정왕후 윤씨는 1501년(연산군 7년) 영돈녕부사
(領敦寧府事) 윤지임(尹之任)의 딸로 태어나 17세{중종 12년}에 왕비에 책봉되었고, 중종(中宗)과의 슬하에 명종(明宗)과 네 공주를 두었다.


  문정왕후가 왕비(王妃)에 오른 것은 중종의 제1계비(繼妃)였던 장경왕후 윤씨
(章敬王后 尹氏)가 인종(仁宗) 출산 후 승하함으로써 이루어졌고, 아들 명종(明宗) 역시 인종(仁宗)의 요절로 왕위에 올랐기 때문에 이 두 모자(母子)는 천운(天運)이 작용한 것 같다는 속설(俗說)이 전해오고 있다.

  더욱이 문정왕후는 아들 명종이 12세의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올랐으므로 명종(明宗)을 대신해 8년간이나 수렴청정(垂簾聽政)을 했기에 권력의 최정상에 올랐던 것이다. 8년간 계속되는 수렴청정 기간에 윤원형(尹元衡) 등 척신(戚臣)이 정권을 장악하여 국사를 농단(壟斷)하였다.
 인종(仁宗)의 외척 세력을 제거했던 을사사화
(乙巳士禍;1545년) 이후 권력의 정상에 군림했던 문정왕후가 생애에서 꿈을 이루지 못한 것은 바로 중종(中宗)의 옆에 묻히지 못한 것 뿐이다.

  그래서 중종과 능역을 함께 조성하기 위해 계비 장경왕후(章敬王后陵;西三陵 所在) 옆에 있었던 중종의 정릉(靖陵:)을  "수파(水破:수구)가 불길(不吉)하다" 는  풍수설(風水說)을 이유로, 성종(成宗)의 선릉(宣陵) 가까이 있는 봉은사(奉恩寺) 곁으로 옮겨 놓았지만 낮은 지대로 인해 자주 침수되어 문정왕후 자신은 결국 그곳에 묻히지 못하고 현 위치로 정해진 것이다.


  
한편 독실한 불교신자이기도 했던 문정왕후는 불교(佛敎)에 심취하여 봉은사에 승(僧) 보우선사(普雨禪師)를 주지(住持)로 두고 승과(僧科)를 설치하는 등 불교진흥에도 관심을 쏟았지만, 문정왕후 사후(死後)에 보우선사는 역모를 꾀했다는 이유로 유배지에서 죽고 불교는 다시 배척당하게 된다.

 

   

 

 

 

   태릉푸룬동산  

  상무대와 선수촌으로 널리 알려진 태릉은 신선한 공기를 마실 수 있는자연적 여건이나 뻥 뚫린 교통여건 등의 그 입지조건이 좋은 곳에 위치한다.

  푸른동산은 실외 수영장과 여러 가지 놀이시설, 그리고 식당 등으로 이루어진 가족공원 같은 시설이나 더욱 호기심을 유발것은 이 곳에 태릉국제사격장이 있다는 것이다.


  태릉과는 철조망 한 장을 사이에 두고 있는 이 곳은 들어가는 입구에 푸른동산 태릉, 국제사격장이라는 푯말이 같이 있다. 입구에서 표를 끊고 들어서면 오른쪽으로 푸른동산의 야외수영장과 관리사무소, 운영본부 건물이 보이고, 앞으로 서 있는 건물들이 사격장이다. 그리고 여기서 멋모르고 왼쪽으로 가면 모퉁이를 돌자마자 놀라게 된다. 덩치 좋은 군인들이 총을 들고 서 있다. 이 곳은 육군 체육부대, 당연히 민간인의 출입은 통제된다.

  사격장 건물을 따라 오른쪽으로 가면 사격장이 끝나는 곳에서 길은 후문 방향과 클레이 사격장 방향으로 나뉜다. 후문은 대부분의 경우 굳게 닫혀 있으니 당연히 위로 발길을 돌리는데, 이곳의 백미(白眉)는 클레이 사격장까지 들어가는 500여 m의 길이다. 좌우로 나무들이 빽빽하고 도로는 한적하다. 길의 초입 부분에는 여러 종류의 새들과 원숭이 우리가 있어 아이들을 데리고 갈 때면 반드시 이 곳을 먼저 들러야 한다.

  길을 따라 오르다 보면 왼쪽으로 분위기 좋은 벤치가 군데군데 놓여 발길을 멈추게 한다. 이 곳에서 도시락을 까먹어도 좋고 한담을 나누며 데이트를 즐겨도 좋다.

  길을 따라 어느 정도 오르다 보면 난데없는 총소리를 들을 수도 있는데 놀라지 않아도 된다. 선수들이 연습하는 것이 분명하니까. 다 올라가면 클레이 사격장이 보이고 여기에 있는 식당에서 간단한 요기를 할 수도 있다. 이 곳에는 영화나 TV 속에서 보았던 사격장이 펼쳐져 있다.   만일 운이 좋다면 관중석에 느긋하게 앉아서 음료수를 마시며 선수들이 사격하는 모습을 즐길 수도 있다.

 

 

  제13대 명종(明宗)과 인순왕후(仁順王后) - 강릉(康陵) 
   
 
                         조선 제13대 명종릉                      명종릉에 배치된 석물
  소재지 : 서울시 노원구 공릉동 산233-19.
사   적 : 제 201 호
    문정왕후의 태릉을 지나 삼육대학교로 가면 정문 앞 오른쪽에 철문이 숲으로 들어가는 길을 가로막고 서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철문 너머 오솔길 오른편의 안내판을 읽어보면 이곳이 비공개 왕릉인 강릉(康陵)의 입구임을 알 게 된다. 안내판에는 원형보존을 위해 능을 공개하지 않는다는 안내문이 적혀있다. 안내판에서 홍살문이 있는 곳까지는 나무가 우거져서 대낮에도 어둑어둑하다. 홍살문에 이르면 비공개릉에 걸맞지 않게 큼지막한 안내판이 있다. 안내판을 앍어보면 강릉이 태릉의 동쪽 산기슭에 있음을 알 수 있다.
 

강릉(康陵)의 특징
  좌향이 "해좌사향"(북북서에서 남남동 방향)인 명종(1534-1567, 재위 22년)비(妃) 인순왕후 심씨(仁順王后 沈氏; 1532-1575)능은 현재 원형보존을 위해 비공개 능으로 지정되어 있는데, 명종의 생모 문정왕후(文定王后;중종의 제2계비)의 태릉(泰陵)과 함께 능 위치에 연관성을 지니고 있는 능이라면 태릉 입구에라도 강릉(康陵)에 대한 보다 자세한 안내나 설명이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왕과 왕비의 쌍릉(雙陵)의 형식으로 조성되었고, 두 능의 봉분에는 모두 병풍석(屛風石)을 두르고 난간석(欄干石)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특이한 점은 좌우측 무인석(武人石)의 외형이 서로 다르게 생긴 것이다.
 사료(史料)에 의하면 선조 4년[1571년]에 강릉(康陵)의 정자각(丁字閣)에 화재가 나자 임금과 세자가 의복을 갈아입고 풍악(風樂)을 금하며 반찬 수를 줄이는 등 근신(謹愼)의 예를 다했다고 한다.

 

뒷 이야기
   명종(明宗)은 12살의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오르게 된다. 그것은 자신이 권력을 움직일 수 없는 결과를 낳는다. 곧 생모 문정왕후(文定王后)의 섭정(攝政)은 외척(外戚)의 전횡(專橫)이라는 비리를 양산하게 되고 국정의 혼란을 일으키게 된 것이다.
 명종대의 권력의 문란함은 내외의 혼란을 야기시켜 밖으로는 '을묘왜변(乙卯倭變)', 안으로는 임꺽정(林巨正) 같은 군도(群盜)의 만연 등 국가의 기강이 흔들리는 사건들이 이어지게 된다.

 인순왕후 심씨는 청릉부원군(靑陵府院君) 심강(沈鋼)의 딸로 태어나 명종과의 슬하에 순회세자(順懷世子)를  두었으나 세자가 어린 나이에 요절하게 되어 슬하의 자식으로  왕위를 계승하지 못하게 된다. 결국 명종(明宗) 승하 후 중종(中宗)의 일곱 번째 아들이었던 덕흥대원군(德興大院君)의 셋째 아들{선조(宣祖)}이 14대 왕위에 즉위하게 됩니다.

 

 
   
   

 

 

 

 

 

 

 

 

 

 

 

 

 

 

 

 

 

 

 

 

 

 

 

 

 

 

 

 

 

 

 

풍수지리 답산안  목록가기